메뉴 건너뛰기

콩밭 2010.03.16 10:34 조회 수 : 3741 추천:1

며칠 전은 새로 나올 시집 이름을
'벌블'이란 말로 짓고, 벌벌 벌블하다 보니
남녘 끝 큰 벌판 하나가 떠올랐다.
벌판은 벌, 벌은 그 벌블의 줄임,
산과 산 사이 작은 마음 에움이여
실개천 에둘음이여,
좁은 벌은 새발그뉘, 새부리뉘
나는 어려서부터 이런 작고 그윽한 이름들이 좋았다.

작은 동네 지나 안골로 가는 큰동네를 싯나라
더러는 미리내 기운 쪽
배롱꽃이 그새 두번째 피었다 지고
밥주걱 같은 북두칠성이 문지방에까지 꽃혀 있었다.
소년은 어느새 자라 조랑말 타고
그 안동네에 장가들고 싶었다
모닥불 앞에서 점둥개와 함께 쭈그리고 앉아
햇고구마를 잘도 굽던 아이,
차르륵 차르륵 밝은 현호색 개똥불을 좇다가
골목길을 벗어나 산등성이에 오르면,
참말, 개불알 같은 그 홍자색 꽃들이 만발해 있었다.
일부러 개불알을 개씹꽃이라 했다가
좀더 철 들어서 오줌꽃, 장가들 무렵엔
요강꽃이라고 불렀다.

나이 점잖은 어른들은 그걸 알고 이냥저냥 오가며
까마귀오줌통꽃이라고 불렀지만
안마을 사람들은 큰기침하며 그 냄새 때문에
진저리, 진줘구, 진자리, 지린내꽃이라고 불렀다.
새마을 사업 한창 땐 복주머니라고 고쳐 부르더니
요새는 너나없이 아이들도 그냥 돈주머니라고 부른다.   

 

<시인 송수권 작>

 

우연히 시를 감상하다가 이 작품을 발견하였습니다.

복주머니란에 대해 이처럼 잘 표현한 작품이 있나 싶습니다.

 

복주머니란을 상상하면서 하루를 즐겁게 보내세요.


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
공지 결혼합니다. [6] 학지 2024.04.15 61
234 개인전을 하고 있답니다. [28] file 해밀 2012.05.01 11178
233 개쓴풀 [2] file 산야 2022.10.05 24
» 개불알꽃 [1] 콩밭 2010.03.16 3741
231 개버무리 이야기.. [9] file 박하 2009.09.04 2772
230 개망초꽃 칠월 [5] file 뻐꾹채/이상헌 2010.07.14 3018
229 개기일식...ㅠㅠ [2] file 돌콩 2009.07.23 3559
228 강해 보일 필요가 없다 [7] 안토니오/정성민 2009.04.15 3042
227 강의 슬라이드 [8] file fairfax/안희용 2009.09.09 2794
226 강을 건너다 [5] file 호세 2015.09.04 282
225 강원지역 식생 탐사 [8] file 태공 2010.05.20 2907
224 강원도 양구를 가다 [9] file 學知 / 홍순곤 2009.09.28 3431
223 강원도 기행 [7] file 뻐꾹채/이상헌 2012.03.26 2664
222 강심은 어디에 [3] file 호세 2014.10.04 1028
221 갓길 주정차 위험 [7] 학지 2011.06.13 3918
220 감자밭의 추억 [4] 금강석/김낙호 2009.06.01 3665
219 감자 드시러 오셔유~~^^ [12] file 박하 2010.07.16 2893
218 감사합니다~~~~~~ [8] 돌콩 2011.12.07 3125
217 감사합니다. [38] 學知/홍순곤 2009.03.16 3833
216 감사합니다. [4] 청석 2013.06.17 2090
215 감사합니다 [5] file 돌콩 2015.07.03 254